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신도림
- 포켓볼
- 신도림 테크노마트
- Check
- 스마트폰
- push
- 공략
- 포켓몬 GO
- swift3
- UITableView
- 아이폰7
- LG유플러스
- Bitcode
- IOS
- 페이백
- 얻는법
- 샘플
- error
- Example
- UIView
- afterdelay
- 해몽
- Xcode
- simulator
- 앱스토어
- GCD
- swift
- 보라카이
- loop
- setting
- Today
- Total
도래울
오라클 - select, where 본문
1. 오라클 - SELECT, WHERE
1) SELECT - 데이터 조회 하기
FROM 테이블
●테이블의 모든 칼럼 조회
SELECT *
FROM 테이블;
●테이블의 특정 칼럼 조회
SELECT 칼럼1, 칼럼2, ....
FROM 테이블;
2) WHERE - 전체 데이터중 조건을 만족하는 값만 조회하기
● 기본적인 조건 조회하기
SQL) SELECT employee_id, hire_date
FROM employees
WHERE last_name = 'king';
SQL)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salary
FROM employees
WHERE salary >= 10000;
※ 테이블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 그리고 문자, 날짜 데이터는 ' '으로 묶어서 표현해 주어야한다.
● AND를 이용한 조건 설정
SQL)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salary
FROM employees
WHERE salary >= 10000
AND salary <= 20000;
● OR를 이용한 조건 설정
SQL)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salary
FROM employees
WHERE salary >= 10000
OR salary <= 20000;
● BETWEEN AND를 이용한 조건 설정. (AND 연산을 보다 간결하게)
SQL)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salary
FROM employees
WHERE salary BETWEEN 10000 AND 20000;
(BETWEEN AND 연산은 =<, => 과 같은 말이다. >, <와 같은 미만,초과와 같은 표현은 AND연산으로 비교해야함.)
● IN를 이용한 조건 설정 (OR연산을 보다 간결하게)
SQL)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job_id
FROM employees
WHERE job_id = 'FI_MGR'
OR job_id = 'FI_ACCOUNT'
OR job_id = 'SA_MGR';
위의 부분을
WHERE job_id IN ('FI_MGR', 'FI_ACCOUNT','SA_MGR');
으로 보다 간결하게 표현할수 잇다.
● IS NULL/NOT를 이용한 조건 설정
SQL>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job_id, salary, commision_pct
FROM employees
WHERE commission_pct IS NOT NULL; //IS NULL일 경우에는 값이 있는 것을 조회한다.
※ NULL은 0이 아니다. 할당되지 않은 값을 말한다. 즉, commission_pct에 아무런 값이 없을때를 말함.
commission_pct의 값에 0이 들어가있다면, 그것은 0이라는 값이 할당된것이다.
● LIKE를 이용한 조건 설정
SQL>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hire_date
FROM employees
WHERE hire_date BEETWEEN '97/01/01' AND '97/12/31'
위의 노란 부분을
WHERE hire_date LIKE '97%';
이렇게 바꿀수 있다.
hire_date는 입사일임.
※ 연도를 이용하여 조건을 검색할때는 2자리로 검색하는 것보다, 4자리로 검색하는게 좋다. 1970년과 2070년의 구분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.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서란 무엇이고 SQL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(4) | 2016.02.05 |
---|---|
V$SQL 이란? (0) | 2016.02.05 |
Oracle Query Join and count (0) | 2016.02.05 |